All Honey Tip

[Linux] 리눅스 su 명령어 사용법 정리

[Linux] 리눅스 su 명령어 사용법 정리

리눅스 환경에서 작업을 하다보면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해야 하는 상황이 종종 있습니다. 이럴때 리눅스 su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는데, su 명령어가 무엇인지와 실제로 어떻게 사용되는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image 1

su는 substitute usert, switch user의 약자로, 현재 로그인 되어있는 세션의 사용자 계정을 다른 계정으로 전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는 루트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할 때 이용하며, 이를 통해 해당 시스템 관리자 권한을 사용하곤 합니다.

주요 옵션을 한 번 보고 가겠습니다.

  1. : 로그인 쉘을 시작합니다. 사용자가 해당 계정의 환경 변수 파일도 로드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2. -c 또는 –command=커맨드 입력: 지정된 명령을 실행하고 로그아웃합니다.
  3. -l 또는 –login: 로그인 쉘을 시작합니다.
  4. -m 또는 –preserve-environment: 환경 변수를 유지합니다.
  5. -s 또는 –shell=쉘명: 지정된 쉘을 사용합니다.



su 사용 예시


su

:비밀번호 입력 후, 루트 사용자로 전환합니다.

$ su


su username123

: 특정 사용자(username123)로 전환합니다.

$ su username123


su – username123

: 새로운 쉘을 사용하여 특정 사용자(username123)로 전환합니다. 일반 su 명령어와의 차이는, 환경변수를 가져온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root, 관리자 계정으로의 switching이 필요할 때, su – 를 사용하게 됩니다.

$ su - username123


su -c “명령어” username123

: -c 명령어를 사용하여 다른 사용자로 로그인하여 특정 명령어를 실행하고, 해당 계정을 즉시 로그아웃 합니다.

$ su - c "ls" username123


su -m username123

: 기존 로그인된 계정의 환경 변수를 유지하고, 사용자만을 전환할 때 사용합니다.



su -s /bin/directory123 username123

: 스위칭한 사용자의 쉘이 아닌, 다른 쉘을 사용합니다. – username123으로 directory123의 쉘을 사용.

리눅스의 su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리눅스와 관련된 다른 글들도 첨부했으니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 🙂

https://allhoneytip.com/category/%eb%a6%ac%eb%88%85%ec%8a%a4linux

image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