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Honey Tip

[Linux] 리눅스 ps 명령어 사용법 정리

[Linux] 리눅스 ps 명령어 사용법 정리

리눅스 ps 명령어 사용법 정리입니다. 리눅스 OS로 프로세스를 관리한다면, 필수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명령어입니다. ‘ps’ 명령어와 옵션, 그리고 활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image 1

‘ps’는 Process Status의 약자로, 현재 시스템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들의 상태를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시스템 모니터링, 네트워크 문제 해결, 성능 최적화 등에서 기본으로 사용됩니다.

ps

: 현재 터미널(쉘)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 정보를 출력합니다.

$ ps

  PID TTY          TIME CMD
 1234 pts/0    00:00:00 bash
 5678 pts/0    00:00:00 ps
  • PID: 프로세스 ID
  • TTY: 터미널 타입
  • TIME: 프로세스가 사용한 총 CPU 시간
  • CMD: 실행된 명령어




ps 명령어 옵션


ps -e
ps -A

: 두 옵션 모두 시스템의 모든 프로세스를 표시합니다.


ps -ef

: 더욱 상세한 정보를 출력합니다.

$ ps -ef

UID        PID  PPID  C STIME TTY          TIME CMD
root         1     0  0 Jun07 ?        00:00:01 init
user      1234  5678  0 10:00 pts/0    00:00:00 bash
user      5678  1234  0 10:01 pts/0    00:00:00 ps -ef
  • UID: 프로세스를 소유한 사용자 ID
  • PPID: 부모 프로세스 ID
  • C: CPU 사용률
  • STIME: 프로세스 시작 시간

ps -u [사용자 명]

: 특정 사용자가 실행 중인 프로세스 찾기

$ ps -u user1

grep

: 특정 프로세스 검색. 일반적으로 ps -ef와 같이 사용하며, 파이프(|)로 명령어를 조합합니다.

$ ps -ef | grep apache

리눅스의 ps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리눅스와 관련된 다른 글들도 첨부했으니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 🙂

https://allhoneytip.com/category/%eb%a6%ac%eb%88%85%ec%8a%a4linux

image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