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Honey Tip

[작성자:] Youandlee

  • [기술 면접] 8. Hash table은 어떤 자료구조인가요?

    [기술 면접] 8. Hash table은 어떤 자료구조인가요?

    수정 일:

    발행 일:

    저번 시간에 이어, 이번엔 Hash table은 어떤 자료구조인지와 Collision 시 해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시간은 자료구조 개념 중에 정말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서비스 플랫폼 기업 K사와 L사에서 마주한 기억이 있습니다. Q: Hash table은 어떤 자료구조인가요? 효율적인 탐색(빠른 탐색)을 위한 자료구조로 key-value쌍의 데이터를 입력받습니다. hash function h에 key값을 입력하여 얻은 해시값 h(k)를 위치로…

  • 벌크업 하는 2가지 방법(멸치 탈출하기)

    벌크업 하는 2가지 방법(멸치 탈출하기)

    수정 일:

    발행 일:

    체중이 잘 늘지 않는 사람들은 벌크업(멸치 탈출)에 도전하곤 하지만, 다양한 방법들을 막연하게 시도하고 실패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입니다. 벌크업(멸치 탈출)은 개인마다 생활패턴이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생활습관에 맞게 진행해야 합니다. 무작정 식사량을 늘리거나 운동량을 증가시키기 보단, 효과적으로 살을 찌우는 것이 권장됩니다. 운동 보충제 아르기닌 설명 및 섭취 방법운동 보충제 크레아틴이란? 1. 적절한 식사 빈도와 양 유지하기 대게 살이…

  • [기술 면접] 8. 가상 메모리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기술 면접] 8. 가상 메모리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수정 일:

    발행 일:

    저번 시간에 이어, 이번엔 가상 메모리에 대한 질문들을 알아보겠습니다. Java 카테고리의 JVM 과도 겹치는 내용이 있습니다. 그만큼 중요하고 자주 등장하곤 합니다. 서비스 플랫폼 기업 K사와 게임 제작 기업 C사에서 마주했던 질문으로 기억합니다. Q: 가상 메모리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Process 전체가 메모리에 올라오지 않아도, 실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법입니다. 가상 메모리 기법을 통해 사용자 프로그램이 물리적 메모리보다 커져도…

  • [기술 면접] 7. DB에서 DeadLock(데드락)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기술 면접] 7. DB에서 DeadLock(데드락)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저번 시간에 이어, 이번엔 DB에서 DeadLock(데드락)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Deadlock을 보고 오셨다면, 익숙한 내용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Q: DB에서 DeadLock(데드락)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여러 Transaction들이 각각 자신의 데이터에 대하여 lock을 획득한 상태에서 상대방 데이터에 접근하고자 대기를 할 때 교차 대기를 하게 되며 서로 영원히 기다리는 상태를 말합니다. Q: DB의 DeadLock을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3가지…

  • [기술 면접] 7. BST(Binary Search Tree), 이진 탐색 트리는 어떤 자료구조인가요?

    [기술 면접] 7. BST(Binary Search Tree), 이진 탐색 트리는 어떤 자료구조인가요?

    수정 일:

    발행 일:

    저번 시간에 이어, 이번에는 BST(Binary Search Tree, 이진 탐색 트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료구조 질문들 중엔,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높은 편에 속하는 개념이며, 빈출 빈도는 조금 낮은 편에 속합니다. 하지만, 종종 마주한 경험이 있으니, 이번 기회에 정리해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Q: BST(Binary Search Tree, 이진 탐색 트리)는 어떤 자료구조인가요? 이진 탐색트리는 정렬된 tree입이니다. 어느 node를 선택하든 해당 node의…

  • [기술 면접] 6. Java Generic 타입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기술 면접] 6. Java Generic 타입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수정 일:

    발행 일:

    Java Generic 타입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기술 면접] 6. 쿠키(Cookie), 세션(Session), JWT(JSON Web Token)에 대해 아시나요?

    [기술 면접] 6. 쿠키(Cookie), 세션(Session), JWT(JSON Web Token)에 대해 아시나요?

    수정 일:

    발행 일:

    저번 시간에 이어, 이번엔 쿠키(Cookie), 세션(Session), JWT(JSON Web Toke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시간까지만 철저하게 준비하셔도 네트워크 관련 질문은 거의 다 대비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번 질문은 서비스 플랫폼 회사 K사, L사에서 마주한 질문입니다. Q: 쿠키(Cookie), 세션(Session), JWT(JSON Web Token)에 대해 아시나요? 쿠키는 사용자 정보같은 데이터를 브라우저에 저장하여 유지하고 세션은 서버에서 해당 데이터를 보관합니다. 그리고 JWT는…

  • [기술 면접] 6. VIEW가 무엇인가요?

    [기술 면접] 6. VIEW가 무엇인가요?

    저번 시간에 이어, 이번엔 뷰(VIEW)가 무엇인지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View는 실제 현업에서도 자주 사용하며, DB 면접 질문으로 빈번히 등장하곤 합니다. 저도 서비스 플랫폼 회사인 L사와 T사에서 받았던 것으로 기억되네요. Q: VIEW가 무엇인가요? 원하는 데이터들만을 보여주기 위해 기존 테이블에서 유도된 가상 테이블입니다. Q: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대표적으로 2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로, CLIENT는 숨겨진 데이터의 존재 자체를 모르기 때문에…

  • [기술 면접] 6. 트리 자료구조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기술 면접] 6. 트리 자료구조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수정 일:

    발행 일:

    저번 시간에 이어, 이번엔 트리(Tree) 자료구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Q: 트리 자료구조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노드와 간선들로 이루어진 자료구조로, 사이클이 없는 자료구조입니다. 즉, 루트에서 한 노드로 가는 경로는 유일합니다. Q: 트리와 그래프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사이클의 유무입니다. 그래프는 노드, 간선으로 이루어진 자료구조로 방향과 무방향이 존재하며, 트리는 그래프의 한 종류로써 방향성 있는 비순환 그래프입니다. Q: 완전 이진 트리와…

  • [JAVA] 3. 큐(Queue) 직접 구현하기

    [JAVA] 3. 큐(Queue) 직접 구현하기

    수정 일:

    발행 일:

    큐(Queue) 직접 구현하기 지난 시간에서는 큐(Queue)와 스택(Stack)에 대해 사용법 및 간단한 예시를 살펴봤습니다. 이번 시간에서는 Queue를 직접 구현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합시다. 연결 리스트(LinkedList)를 활용한 큐 구현하기 연결 리스트란, 유연하게 크기 변경이 가능한 자료구조를 일컫습니다. 이 자료구조는 리스트와 노드로 구성되어있는데, 집합의 단위를 리스트(List), 각 요소의 단위를 노드(Node)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연결 리스트에 대한 설명은 다음 시간에 더 자세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