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혼 준비를 하고 계신가요?
결혼식을 위해 보통 1년 전부터 준비를 한다고 하던데 예산, 장소, 드레스, 벤더 등 어떤 걸 준비해야하는지 너무 어렵죠 ㅎㅎ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결혼식 1년 전부터 당일까지 모든 것을 준비하고 체크할 수 있는, 예비 신혼 부부를 위한 단계별 체크리스트입니다.
막막하다고 생각하지 마시고, 천천히 따라해보세요 😀😀


아, 시작 전에 결혼 관련 용어들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랫 글을 먼저 참고해주세요
👇👇👇
결혼 준비 가이드 – 결혼 체크리스트
– 준비 전 결정 (즉시 해야 할 것들)
우선, 리스트를 확인하기 전에 대략적으로 정해야할 기준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예비 신부와 예비 신랑 합의 하에 대략적인 규모나 기준을 정하고 나서 진행하셔야 좀 더 수월하게 준비하실 수 있답니다. 😊
- 상견례: 양가 부모님 인사 완료.
- 예산 범위: 가족(양측) 부담 비율, 총 예산 상한선 확정.
- 예식 스타일 결정: 스몰 / 하우스 / 호텔 / 야외 / 하객형 / 축의금 중심 등.
- 대상(게스트) 규모 가늠: 예상 인원(가족, 친지, 지인, 회사) 대략적인 수치 계산.
- 희망 시즌 및 날짜 2~3개 선정: 인기 시즌은 장소 빨리 마감.
- 우선순위 정하기: 사진, 음식, 드레스 중 어느 것에 돈과 에너지를 더 쓸지 합의.


12 ~ 9개월 전 – 기본 틀 잡기
- 장소 선정(웨딩홀/하우스웨딩/야외): 후보 조사 및 견적 요청(계약금까지 조사하기!)
- 게스트 초안 리스트 작성.
- 웨딩플래너 고용 여부 결정: 시간 및 에너지 고려.
- 사진/영상 업체(스냅 및 본식) 후보 섭외: 인기 포토그래퍼는 선예약 필요.
- 드레스/턱시도 가게 탐색: 예약 가능한 날짜까지 확인.
- 숙박/교통(필요 시) 초안 계획: 지방 게스트 전용 버스 등 예약 검토.
- 신혼 여행 계획



9 ~ 6개월 전 – 주요 벤더 확정 및 계약
- 웨딩홀(또는 장소) 계약 확정: 계약금 입금까지 완료하기!
- 사진/영상, 메이크업/헤어 아티스트 예약
- 플로리스트(부케/식탁장식) 및 케이터링(시식 포함) 결정
- 청첩장 디자인/견적 요청 (인쇄 또는 디지털)
- 식장 음악(콘서트형/라이브/DJ/피아노) 결정 후 섭외
- 혼수/예복(드레스 or 턱시도) 최종 시안
- 신혼 여행 비행기 예매 및 숙소 예약 (투어 등등)



6 ~ 3개월 전 – 세부 조율
- 청첩장(초대장) 발주
- 혼주 및 하객(선택) 선물/답례품 선정
- 결혼식 리허설 일정 및 장소 확인(반복 확인!)
- 결혼증명서 및 법적서류: 국가 지원 등, 필요 시 혼인신고 준비
- 웨딩타임라인(대략) 확인
- 웨딩 사진 셀렉/보정
- 사회자, 축의대, 축사 및 축가 등 선정 후 요청



3 ~ 1개월 전 – 확정 단계
- 최종 게스트 확정(최종 명부) 식수 확정
- 드레스 피팅 최종, 액세서리 준비
- 메이크업/헤어 리허설(실제 드레스와 함께)
- 음향 및 조명 확정
- 포토샷리스트(필수 컷) 확인
- 청첩장 모임
- 결제 스케줄 확인 (잔금일 or 취소수수료 확인)


2주 전 ~ 당일 – 최종 점검
- 최종 리허설 (주로 하루 이틀 전): 입장/퇴장 동선 등
- 당일 타임라인 확정본 배포: 포트 그래퍼, 이벤트 업체 등 주요 벤더에게 전달
- 교통(선택) 재확인: 지방 하객용 버스 스케줄 체크
- 최종 잔금 및 팁 지급용 현금 준비: 별도 헬퍼 사용으로 필요 시
계약서 및 결제 주의사항
1. 반드시 명시할 것
- 일정 날짜 및 시간(세팅/철수 포함)
- 장소
- 인원
- 옵션(포함/추가 비용)
- 촬영 범위(시간·컷·원본 제공 여부)
- 지불 일정
- 환불 및 취소 규정
- 추가 비용 발생 조건
- 보험 및 안전 관련 책임 범위

2. 계약 시 요구할 것
- 담당자 연락처(당일 책임자)
- 업체 비상연락망
- 대체 인력(불참 시 대처)

3. 이력 보관
계약금 → 중도금 → 잔금 스케줄을 문서로 보관하고 영수증과 계좌이체 내역을 증빙 자료로 정리하기.
4. 취소/변경 정책
자연재해 및 공공사태 발생 시 환불 및 보상을 위한 절차와 필요한 증빙 자료 확인.

결혼식 준비 후기? 경험자 팁
– 우선순위에 돈을 쓰세요
우선 순위를 반드시 정해서 진행하세요!
보통 음식 퀄리티에 대한 투자는 후회가 없습니다.
주말에 멀리서 시간 내서 오신 지인들에게 배풀 수 있는 게 맛있는 식사이니까요!
멀리서 왔는데 밥이 맛 없으면 안 좋은 말이 나올 수도 있죠 ㅎㅎ


– 커뮤니케이션 로그 남기기
벤더와의 카톡/메일/계약서 스크린샷은 모두 직접 정리해서 보관하세요!
언제 어떤 일로 급하게 필요할지 모르니 미리 대비 하시길 권해드려요 🙂
그리고 중간 중간 계약 내용이나 비용 다시 찾아 보기에도 좋아요!

– 사전 리허설은 필수:
아무리 바빠도 최소 한 번은 전체 리허설을 꼭 해보세요.
리허설을 해도 틀릴 수 있는 게 본식입니다.
부모님들도 긴장 하셔서 순서를 틀리거나 실수 하시는 일이 종종 있습니다 ㅎㅎ
– 예비비(총예산의 5~10%) 확보:
급하게 발생할 수 있는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당일 예상외 금전을 일부 확보해 두시길 권해드립니다 🙂
마치며 – 결혼식 준비
결혼식을 준비하기 전에, 또는 준비 하면서 확인해 보면 좋을 체크 리스트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일도 하면서 결혼 준비까지 하면 정신 없어서 하나 둘 놓치기도 하고, 싸우기도 하고 많이 힘드실 거에요 😢
여유 되실 때 확인하셔서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
답글 남기기